잡담

모바일 캐시비 교통 카드 충전 방법, 집에서 온라인 충전 후기 (RFID 음식물 쓰레기 배출용 카드) 사용 금액 확인하기

오늘의관심사 2022. 6. 18.

모르는 타지에서 생활하게 되거나 처음 자립을 할 경우 해당 지역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고민이 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방법이 차이가 있는데요.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버리는 방식, ②음식물 쓰레기 통에 납부 필증 구입하여 붙여서 버리면 음식물 쓰레기 통에 있는 음식물만 가져가는 방법, ③RFID 종량제 방식 3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는 지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은 RFID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가능한 곳이었습니다.

RFID 종량제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무게 측정하고 비용 차감하는 방식입니다. 교통카드에 돈을 충전한 뒤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기에 카드를 넣고 음식물 넣고 무게 측정한 뒤 돈이 차감되고 버릴 수 있습니다.

목차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이 RFID로 변경되어 기존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버리는 것보다 편리해진 점이 있습니다. 언제든지 바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할 수 있어서 집 안에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두지 않아도 되는 점, 무게로 재기 때문에 마트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점입니다.

    RFID 음식물 쓰레기 카드 방식은 무엇인가?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줄인 말로 주파수를 이용하여 ID를 식별하는 전자태그 방식입니다. 교통카드를 가져다 대면 주파수로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반영구적이고, 비접촉으로도 인식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음식물 쓰레기 용량 무게를 책정하고 요금을 교통카드로 바로 결제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기존 교통카드 사용 금액과 다르게 RFID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용으로 지출한 결제내역은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

    지역 별로 어떤 교통카드는 되고 안되고 차이도 있을 수 있으니 RFID 음식물 쓰레기 배출용도로 교통카드 구입하시려면 해당 지역이 캐시비, 티머니 중에서 호환가능한 교통카드를 확인해보시고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RFID 음식물 쓰레기 카드를 활용한 경우 마트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배출일 신경쓰는 것도 줄어들어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하는데요. 음식물 쓰레기를 쌓일 때까지 모아서 번거롭게 버리곤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필요할 때 바로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낭비하지 않아도 되어서 좋은 점이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 내에 RFID 음식물 쓰레기 통이 있거나 빌라라면 공원 근처에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거주 지역과 음식물 쓰레기 배출로 검색해보면 배출 방법과 위치를 알아보신다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캐시비 교통카드 구입처

    교통카드를 편의점에서 판매하지 않을까 싶어서 인근 편의점에 가봤는데 없어서 더 먼 곳에 위치한 편의점에 들렸습니다. 캐시비 교통카드 밖에 판매하지 않아서 선택지 없이 구입하였습니다. 해당 지역에서 자주 사용하는 교통카드가 호환이 되는 카드겠거니하고 구입하였습니다.

    편의점에서 바로 구입 후 충전할 수 있었지만, 오프라인에서 캐시비 충전하려면 현금만 가능하다고 하여 ATM기기에서 돈을 뽑는 것이 귀찮아 그대로 집에 돌아왔습니다.

    집에서 온라인으로 캐시비 카드 충전하기 (모바일)

    사실 집에서도 언제든지 충전할 수 있습니다. NFC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이면 [모바일 캐시비]라는 어플을 설치하면 집에서도 충전할 수 있습니다.

    1. [준비물] NFC 기능 가능한 스마트폰, 캐시비 카드가 있어야 함
    2. 모바일 캐시비 어플 설치 [링크]
    3. 회원 로그인 (가입이 안되어있다면 회원가입)
    4. 캐시비 카드 교통카드 조회, 충전 클릭
    5. NFC 태그 활성화
    6. 캐시비 카드를 스마트폰 뒷면(책상과 스마트폰 사이)에 둔다
    7. 충전 수단 클릭 후 금액 클릭 후 충전하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집에서 모바일로 캐시비 충전이 가능하였습니다. 사진으로 함께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바일 캐시비 어플 설치 후 로그인 ▼

    (2) 캐시비 카드 교통카드 충전 클릭하기  

    (3) 캐시비 교통 카드 위에 스마트폰을 올려두어 카드 읽기 (NFC 활성화) ▼

    (4) 충전 방법 선택 및 금액 입력하기 ▼

    수수료가 3% 발생합니다. 1000원 결제하면 30원이 수수료입니다. 오프라인에서 현금 충전할 경우엔 수수료가 없지만 직접 모바일로 충전할 경우 수수료가 발생하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네요.

    (5) 충전 완료되면 충전한 금액 바로 사용 가능, 사용 내역도 모바일 캐시비로 확인 가능 ▼

    교통카드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하면서 결제된 내역입니다. 100원 이내로 그 때 그 때 모아서 버릴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 통은 벨라쿠진 스테인리스 음식물 쓰레기통(링크)이었는데요. 가격도 얼마 하지 않습니다. 음식 쓰레기 냄새가 문제라고 생각되시는 분에게 필요한 필수템으로 추천합니다.

    이 제품 사용 전에는 베란다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아 플라스틱 통에 모아뒀었고 아깝지만 쓰레기 봉투 꽉 차기 전에 냄새 때문에 바로 버렸었는데, 스테일리스 음식물 쓰레기 통 구입 후에는 부엌 싱크대 아래에 배치하고 필요할 때 바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적당이 찼다 싶으면 여름이면 3일~7일 정도 모아다가 무게 재서 버리기도 편리하고, 뚜껑을 열기 전까진 냄새가 잘 느껴지지 않습니다.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기본적으로 2, 3리터로 판매하는 데 1인, 2인 가구처럼 음식물 쓰레기 양이 애매한 경우 꽉 채우는 것도 시간이 걸리는데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말고 일반 비닐팩(25cm 정도)인 것도 딱 맞는 크기인데다 뚜껑을 닫아두면 냄새가 잘 새나오지 않아서 자취 필수품으로 추천합니다. 여름에 파리 날리는 것도 줄어들고, 확실히 삶의 질이 높여주는 제품입니다.

    스테인리스 재질로 음식물 쓰레기 버리고 한번 세제 넣고 물 넣고 닦아주면 냄새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꼭 이 제품 아니어도 플라스틱보다는 스테인리스 음식물 쓰레기통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봉투를 고정시켜주는 동봉되어있던 스텐 링의 경우 실수로 음식물 쓰레기 통에 떨어뜨렸는데요. 자석처럼 붙어있는 스텐 링은 아니기 때문에 떨어뜨리지 않게 신경써 주시는 것이 좋고, 스텐 링이 없어도 사용하는데는 큰 문제는 없어서 그냥 그대로 사용 중입니다.

    그 밖에 캐시비 편의점 충전과 카드 구입시 알아둘 점

    오프라인 판매처

    세븐 일레븐, CU, GS25, 미니스톱 등 (캐시비 판매 충전 마크가 부착된 편의점)

    캐시비 카드 종류

    • 플라스틱 카드형
    • 모바일 카드 형
    • 액세서리 형 (예: 교통시계)

    ※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캐시비 카드는 선불 카드입니다.
    ※ 일반, 어린이, 청소년 표기 되어있는 권종 카드와 통합 권종카드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청소년 할인은 편의점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캐시비 카드 가격대

    3,500원부터 5000원대 이상까지 다양합니다. 디자인 제휴가 들어간 캐시비 교통카드는 5000원대 이상입니다.

    편의점 캐시비 카드 충전 한도

    • 1회 충전 한도: 7만원 (미니스톱은 1회 9만원까지)
    • 카드별 충전한도: 50만원

    ※ 편의점 가맹점 별 단말기 설정에 따라 1회 충전 한도 금액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캐시비 마크가 부착된 곳에서 충전 가능

    편의점, ATM(교통카드 인식 가능힌 일부 기기), 지하철 무인 충전기 등 캐시비 마크가 있는 곳에서 현금으로 충전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